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재래된장 만들기 (전통요리, 홈메이드, 자급자족)

by skyblue13 2025. 6. 26.
반응형

 

과거에는 모든 집에서 직접 된장을 담그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그러나, 현대에는 간편한 시판 제품이 대세가 되면서 전통된장이 점점 잊혀가고 있습니다. 다행히도, 최근 자급자족과 홈메이드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재래된장을 직접 만드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와 관련하여, 이번에는 재래된장의 가치와 만들기 과정, 자급자족 식문화로서의 의의를 정리해 보려 합니다.

전통요리로서 재래된장의 의미

재래된장은 단순한 조미료가 아니고, 한국인의 삶과 계절이 스며 있는 문화유산입니다.

된장을 담그는 시기는 대개 겨울철로, 한 해 농사를 마치고 집안일이 비교적 한가할 때 진행됩니다.

이때 가족과 이웃이 함께 모여 콩을 삶고 메주를 빚는 모습은 공동체의 따뜻함을 보여주는 대표적 장면이기도 했습니다.

 

전통 방식의 된장은 오랜 시간 발효를 거치며 특유의 구수하고 깊은 맛을 내며,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미생물 덕분에 풍미는 물론 건강에도 이롭습니다. 메주 띄우기부터 항아리 장독 관리까지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이지만, 그만큼 공을 들인 만큼의 보람도 큽니다. 최근에는 젊은 세대와 귀농·귀촌 인구 사이에서도 전통 요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재래된장을 배우려는 움직임이 활발합니다.

 

음식의 본질을 추구하고, 느리고 건강한 삶을 실천하려는 흐름 속에서

재래된장은 단지 옛날 방식이 아닌 '지속 가능한 요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홈메이드 재래된장 만드는 법

재래된장을 집에서 만들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핵심 재료는 메주콩, 천일염, 깨끗한 물입니다.

여기에 전통 방식대로 메주를 띄우기 위한 볏짚과, 발효 저장을 위한 항아리(옹기)도 필요합니다.

 

콩 삶기: 잘 씻은 콩을 하루 정도 불린 후 푹 삶아줍니다.

콩을 손으로 눌렀을 때 쉽게 으깨질 정도면

OK입니다.

 

메주 만들기: 삶은 콩을 절구나 손으로 으깬 후 주먹 크기로 동그랗게 빚습니다.

이 메주 덩어리를 볏짚에 묶어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약 한 달간 띄웁니다.

이 과정에서 유익한 미생물이 자연스럽게 번식합니다.

 

장 담그기: 메주를 잘 말린 후 항아리에 넣고, 천일염을 푼 소금물을 붓습니다.

고추, 숯 등을 함께 넣어 잡균 번식을 억제합니다.

이후 장독대를 햇볕이 잘 드는 곳에 놓고 약 40~60일간 숙성시킵니다.

 

된장 분리: 시간이 지나 간장과 된장이 분리됩니다.

윗물은 간장으로, 아래 남은 고형물은 꺼내 으깨서 된장으로 저장합니다.

이후 3개월~6개월간 추가 숙성을 거치면 더욱 깊은 맛의 된장이 완성됩니다.

 

이러한 홈메이드 된장 만들기는 시간과 정성이 요구되지만,

시판 제품과는 비교할 수 없는 진한 풍미와 건강함을

제공합니다.

 

자급자족 실천의 시작, 수제된장

재래된장 만들기에 관한 사진입니다
(재래된장 만들기에 관한 사진입니다.)

 

자급자족은 단순히 음식을 자급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먹는 음식의 과정을 알고 스스로 통제하는 삶의 태도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된장 만들기는 자급자족 실천의 훌륭한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 수제된장을 만들면서 우리는 계절의 흐름을 체감하고, 발효의 과학을 자연스럽게 배웁니다.

 

또한 직접 만든 된장은 유통기한이나 보존료 걱정이 없고, 가족 구성원에 맞게 염도를 조절할 수 있어 맞춤형 건강식이 됩니다.

더 나아가 직접 기른 콩으로 된장을 만든다면, 농사와 요리가 연결되는 자급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 도시농업, 주말농장, 텃밭 재배 등이 늘면서 누구나 콩을 심고 수확해 된장을 만들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또한 수제된장은 선물용으로도 가치가 높아, 정성과 시간이 담긴 전통 장은 가족, 친지에게 주는 최고의 마음 표현이 됩니다.

이러한 과정은 단순한 요리를 넘어, 삶을 더 풍요롭고 의미 있게 만들어주는 자산이 됩니다.

재래된장은 전통요리이자 자급자족의 상징이며, 건강한 식생활의 기초입니다.

 

집에서 직접 만든 된장은 깊은 맛과 영양, 그리고 나만의 삶의 철학을 담을 수 있습니다.

올해는 홈메이드 된장으로 슬로푸드를 실천하고,

지속 가능한 삶에 한 걸음 더 다가가 보시면 좋겠습니다.

반응형